swift문법 5

02.2 조건문_Conditional Statement

조건문이란 주어진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하거나 건너뛰며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법이다.조건문에는 크게 몇 가지가 있다.ifswitchassert / guard  ifif문은 조건이 참인 경우에 코드 블록을 실행하는 조건문이다.조건식이 참일 경우 코드 블록이 실행되고, 거짓일 경우 무시된다.if (조건식) {    코드 블록}let number = 10if number > 0 { print("양수입니다.")}양수입니다.   if elseelse문은 if문의 조건이 거짓일 경우 실행되는 블록이다.if문의 조건이 거짓일 때 else문의 코드 블록이 실행된다.if (조건식){    코드 블록1 //조건이 참일 경우 코드 블록1 실행}else{    코드 블록2 //나머지 경우 코드 블록2 실행..

Swift 2023.07.05

02.1 함수_Function

데이터처리앞서 데이터에 대해서 배웠다.데이터데이터타입데이터묶음옵셔널이러한 데이터들을 받아서 처리하고 가공을 하여 우리가 의사결정이나 다양한 곳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데이터처리가 필요하다. 이러한 데이터처리는 크게 3가지로 나누어져 있다.함수(Function)조건문(Conditional Statement)반복문(Loop)함수, 조건문, 반복문을 통해서 우리는 데이터를 훨씬 빠르고 편리하게 가공하고 처리할 수 있다.  함수(Function)함수(Function)란 일련의 동작 과정을 수행하는 코드 블럭으로, 한번 선언을 해 놓으면 어디서든 언제나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.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구조화에 도움이 된다.  함수의 선언함수(Function)는 선언할 때 'func' 키워드..

Swift 2023.07.03

01.3 옵셔널_Optional

Swift는 안정성이 뛰어난 프로그래밍 언어이기에 옵셔널이라는 문법이 있다. 옵셔널(Optional)값의 존재 유무에 대한 표현이다.값이 없을 수도 있을 때 옵셔널을 사용하여 null 값인 경우의 런타임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.옵셔널은 컴파일러가 작동하기 전까지 값의 존재에 대해 모르기 때문에 어떤 값으로 사용하거나 대입 및 연산이 불가하다. 옵셔널(Optional)의 선언옵셔널은 변수 또는 상수의 데이터 타입 뒤에 물음표(?)를 붙여 선언한다.var name: String? = nil// name 이라는 String형 변수를 옵셔널로 선언한다.// name 이라는 변수에는 값이 들어갈 지 들어가지 않을 지 모르기 때문에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옵셔널로 선언// nil 을 사용하여 값이 없을 때 런타임 에..

Swift 2023.06.28

01.1 데이터_Data

데이터(Data) 란?데이터 : 어떤 활동을 위해 필요한 정보 및 값 데이터 다루기 위해?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이리 옮겨지고 저리 옮겨지며 생성, 수정, 저장, 전달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이런 작업을 위해서는 추상적인 데이터를 담을 실질적인 그릇이 필요하다.변수 (Variable) : 변(변하는) 값 (가변 하는 데이터의 그릇)상수 (constant): 변하지 않는 값 (불변하는 데이터의 그릇) 데이터 다루기우선 다루려고 하는 데이터가 변하는 값(변수)인지 변하지 않는 값(상수)인지 정해야 한다.그 후 나는 '이 데이터를 쓴다' 고 선언하면 된다.Swift 언어에서는 이렇게 표현한다. 변수 선언문 : var name// name 이라는 변수를 선언한다 상수 선언문 :let name// nam..

Swift 2023.06.19

Swift_핵심문법 개념지도

시작하기 전에,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대분류로 나누어 본다. 크게는 데이터, 데이터처리, 객체, 기타 이렇게 나누어져 있고 이를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글을 작성한다. 개념지도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. 첫 번째 목적은 본인 나름대로의 정리이다. 이것이 어떤 사람이 보기에는 틀릴 수도 있고 맞을 수도 있지만, 이렇게 나누는 것의 목적은 개념적으로 어떤지 판별하는 역할도 있지만 그것보다 내가 어떻게 Swift를 한 눈에 딱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. 두 번째는, 개념지도를 통해 무엇을 모르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내가 어떠한 것을 모르는 지 알게되는 것이 이 개념도의 목적이다. 요즘은 인터넷과 Ai 를 활용하면 단 몇 분만에 어떠한 개념인지와 예제까지 모두 학습하고 알 수 있다. 우리는..

Swift 2023.06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