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이란?
- Git이란 리눅스의 창시자인 리누스 토르발스가 수많은 소스 코드와 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해 만든 시스템
- 깃은 크게 3가지를 할 수 있다.
버전 관리
- 수정, 최종, 진짜 최종, 진짜 찐 최종 같은 파일이름의 지옥에서 벗어나, 하나의 파일명으로 언제, 무엇을 수정하고 변경했는지 기록하며 관리하는 시스템이다.
백업
- 컴퓨터가 고장나거나 작성 중인 파일이 강제종료되는 등 상상하고 싶지 않은 예기치 못한 일은 항상 발생할 수 있다. 이것에 대한 방지책이 백업이다. 쉽게 말해 다른 컴퓨터에 복제해놓는 것이다. 주기적으로 하면 할수록 안전한 백업이 된다.
- 외장하드, USB 같은 저장장치에 백업할 수도 있고, 구글 드라이브나 아이클라우드 등 같은 온라인, 원격 저장소도 많이 쓰인다. 이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깃허브(GitHub)이다
협업
- 함께 협업을 할 때는 보통 원격 저장소, 깃허브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때 파일들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으며 편하게 일할 수 있다. 또한 누가 어느 부분을 언제 수정했는지에 대한 기록을 할 수 있어 오류가 생겼을 때도 파악하기 쉽다.
깃 프로그램의 종류
- 깃허브 데스크톱(GitHub Desktop) : GUI로 구현하여 배우기 쉽고 편하지만 기본적인 기능 위주
- 토터스깃(Tortoise Git) : 윈도우 탐색기의 빠른 메뉴에 추가되는 윈도우 전용 깃 프로그램
- 소스트리(SourceTree) : 깃의 기본 기능부터 고급기능까지 있다. 기능이 많아 복잡하지만 익숙해지면 깃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.
CIL(Command Line Interface) : 터미널창
- 터미널 창에 직접 명령을 입력하여 깃을 사용하는 방식은 리눅스의 명령어와 깃 명령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어렵지만 익숙해지면 깃을 훨씬 빠르고 잘 다룰 수 있다.
'Git,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, GitHub 연결 (0) | 2024.08.22 |
---|---|
Git, GitHub (0) | 2024.08.22 |
[Git] 깃의 버전 관리 - 작업트리(Working Tree), 스테이지(Stage), 저장소(Repository), 커밋(Commit) (0) | 2024.08.22 |
[Git] Linux, Git 명령어 정리 (0) | 2024.08.22 |
Mac, 맥북에 Git 설치 및 오류 해결 (zsh: command not found: brew) (0) | 2024.08.22 |